+디지털마케팅

마케팅 용어 사전 : ㅊ~ㅍ

최아리 2022. 4. 3. 09:00

마케팅 실무에 필요한 용어들을 가나다 순으로 정리해봤다.

 

-체류시간(DT) : 방문자가 사이트에 방문한 후 떠나기 전까지의 시간.

체류시간은 페이지뷰와 더불어 고객의 충성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

모든 플랫폼은 사용자의 체류시간을 늘리는 게 목표이기 때문에

체류시간이 높게 나타나는 크리에이터의 채널을 높게 평가한다.

유튜브에서는 평균지속시청시간에 해당되는 개념.

 

-체리피커 : 이벤트 진행 시 혜택만 누리고 실질적으로 매출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고객을 일컫는 말

(이벤트 참여가 저조할 땐 체리피커의 참여도 감사할 때가 있다.. -_-

붐비는 식당이 더 맛나보이듯이..)

 

-최적화 블로그 : 블로그 지수가 높아 상위노출이 되는 경우. 

특정 주제 분야에 중점적으로 콘텐츠를 작성해, 나의 목적성을 분명히 보여주고

지속적으로 높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업로드해야 한다.

단기간에 최적화가 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꾸준하게 임하는 것이 좋다.

시의성이 좋은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꾸준히 자주 검색되는 롱테일 키워드를 공략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크롤링 : 다양한 정보 자원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수집해 분류, 저장하는 것.

웹 상의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데이터로 추출해낸다. 

오프라인에서 사람들을 만나 수요 조사, 설문 조사를 하는 것과 같은 개념.

 

-클릭률(CTR) = (클릭수/노출수)X100 : 노출 횟수 대비 클릭수.

광고가 고객에게 노출된 횟수 중 몇 번의 클릭이 있어났는지 나타낸 수.

클릭률이 높을수록 노출 대비 많은 클릭이 일어난 것이므로, 광고 성과를 측정할 때 주로 쓰이는 지표.

 

-키워드 광고=검색 광고 SA : 검색엔진에서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주 사이트를 검색 결과에 포함하는 광고

마케팅 용어 사전 : ㄱ~ㄷ

 

-타임보드 : 네이버 초기화면 상단 영역에 정해진 시간 동안 광고를 독점 노출해 높은 전화 효과를 내는 배너광고 상품

원하는 시간대를 선택해 집행할 수 있다.

 

-트래픽=전송량 : 특정 사이트에서 사용자 접속 횟수 혹은 이용자 수를 뜻한다.

 

 

-파워링크 : 네이버 클릭초이스 상품의 노출 영역. 통합검색 결과 페이지 상단에 노출된다.

클릭초이스 노출 순위로 10개의 광고가 보인다.

 

-퍼널 : 소비자를 고객으로 이끌어 내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

잠재 고객의 유입부터 전환까지, 고객의 여정을 분석하는 모델.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하기까지 일어나는 과정을 순서대로 분석할 수 있다.

모든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다음 단계로 넘어갈수록 이용자 수가 줄어들게 된다.

처음 유입된 고객 중 일부가 서비스에 관심을 갖고, 그 중 일부가 실제 구매를 한다.

 

디지털마케팅에서의 퍼널
디지털마케팅에서의 퍼널

 

데이브 맥클루어는 AARRR 이라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획득-활성화-유지-추천-수익의 앞글자를 땄다.

획득 : 웹 사이트 방문, 앱 다운로드 등. 고객 획득 비용CAC(한 명의 고객을 획득하기 위해 지출되는 비용)

활성화 : 고객에게 가치 전달하기. 페이지뷰, 체류시간, 아하모먼트(제품의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결정적인 순간)

유지(리텐션) : 계속해서 제품,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리텐션, 이탈률

마케팅 용어 사전 : ㄹ~ㅂ

추천 : 고객이 자발적으로 추천하게 만들기. 추천인 등록 외에도 바이럴 요소가 더해진 커뮤니티 활동을 장려하는 것도 포함. 사용자 언급 댓글 수, SNS 공유 횟수. 

수익 : 제품 판매, 구독 등. 고객 생애 가치 LTV, 유저 당 평균 수익 ARPU

 

-페이지뷰 : 하나의 웹 페이지가 방문자에게 보여지는 횟수. 

페이지뷰와 유니크뷰(순방문자) 수는 다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프로드 : 디지털 광고에서 기술, 정책의 약점을 공격해 허위 성과를 일으켜 광고비를 편취하는 광고 사기.

자동 스크립트 혹은 봇을 이용한 치팅, 실제 앱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하지 않은 구매, 가입, 로그인 등의 성과를 허위로 발생시키는 스푸핑, 허위 클릭 요소를 심어놓는 클릭 스패밍, 광고주가 의도하지 않은 이용자를 대거 끌어들이는 트래픽 컨플릭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