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기본 개념 정리하기! 노출수, 클릭률, 트래픽
유튜버가 되고자 한다면,
유튜브 마케팅을 하고자 한다면
기본으로 알아야 할 용어 세 가지!
바로 노출수, 클릭률, 트래픽이다.
기본 측정 항목
-노출수 : 썸네일 이미지가 등록된 노출을 통해 유튜브에서 시청자에게 '표시'된 횟수 (시청과 다름)
-노출 클릭률 : 썸네일이 표시된 후 시청자가 동영상을 시청한 빈도
-순 시청자 수 : 콘텐츠를 시청한 추정 시청자 수
-조회수 : 채널 또는 동영상을 정상적으로 조회한 횟수
-시청시간 : 시청자가 내 콘텐츠를 시청한 시간 (단위를 잘 봐야 함)
노출수와 클릭률
노출수와 클릭률은 유튜브 분석의 '도달 범위' 탭에서 확인 가능하다.
썸네일이 유튜브에 표시된 횟수, 썸네일 노출이 실제 조회수와 시청시간으로 전환된 정도를 확인한다.
이 데이터는 콘텐츠 게시 후 몇 시간 이내에 제공되니 기다림이 필요하다.
노출수로 집계되는 기준은 무엇일까?
PC, TV, 모바일(안드로이드, 아이폰, 아이패드 등), 게임 콘솔 등에서의 유튜브 시청
유튜브 검색, 홈페이지, 피드(구독/인기급상승/최근본동영상/나중에볼동영상)
동영상 플레이어 옆에 뜨는 다음 동영상 추천
재생목록
이 외에 외부 웹사이트/앱, 유튜브 모바일 웹사이트, 유튜브 키즈앱, 유튜브 뮤직앱, 카드/최종화면, 푸시알림, 배경탭에서 재생되는 경우 노출에서 제외된다.
썸네일이 50% 미만으로 보이는 경우, 트루뷰 동영상 디스커버리 광고의 경우에도 제외된다.
노출수, 조회수, 시청시간의 관계를 통해
내 채널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유튜브 추천이 노출수에서 차지하는 비율, 클릭률, 평균 시청 지속 시간을 봐야
내 썸네일과 콘텐츠의 매력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것.
트래픽
유튜브 분석을 보다 보면, 다양한 트래픽 소스가 나온다.
콘텐츠 트래픽은 유튜브 내부 혹은 외부 소스에서 발생하는데
외부 소스에 대한 설명은 비약한 편이다.
(유튜브 내부)
- 탐색 기능 : 홈, 구독, 나중에 볼 동영상, 인기/탐색 등
- 채널 페이지 : 내 채널 혹은 다른 채널에서 발생
- 최종 화면, 카드 : 콘텐츠 업로드 시 설정하는 부분
- 쇼츠 : 쇼츠 세로 뷰 환경에서 발생
- 알림 : 종 모양 - '모든 알림' 설정한 경우 / 기타 앱 알림 - 맞춤 설정 알림, 수신함, 이메일 등
- 재생목록
- 추천 동영상
- 유튜브 광고 : 광고 소재로 활용한 경우에 해당. 길이가 10초를 초과하는 건너뛸 수 있는 광고에서 발생한 조회수는 최소 30초 혹은 끝까지 시청한 경우에만 집계됨. 건너뛸 수 없는 광고는 조회로 인정되지 않음
- 유튜브 검색
이 외에 외부 소스(동영상을 퍼가거나 연결 링크를 추가해둔 웹사이트를 통해 인입), 직접 입력 (URL를 직접 입력해 접속), 북마크, 로그아웃 상태의 시청, 미확인 앱에서의 트래픽의 경우가 있다.
FAQ
1. 동영상 클릭률, 평균 시청 지속 시간은 높은데, 노출수가 낮은 이유?
일반적으로 노출수, 조회수가 낮은 콘텐츠일수록 클릭률과 평균 시청 지속 시간이 더 높게 나타난다.
충성도 높은 소규모 시청자 층이 시청했기 때문. 동영상 실적 비교 시, 데이터는 시청자 층의 차이를 반영하게 된다.
2. 노출수보다 조회수가 많은 이유?
유튜브 외부에서 많은 트래픽이 유입된 경우 노출수보다 조회수가 더 높게 나올 수 있다.
썸네일이 표시되는 모든 경우가 노출로 집계되는 것이 아니며, 모든 조회수가 썸네일 노출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